본문 바로가기

스크래치/드론코딩

드론 배우기 로킷브릭 설치하기

반응형

드론 배우기 포스팅을 시작합니다

이번 드론 배우기 포스팅에서는 드론 코딩할 때 필요한 로킷 브릭을 설치하는 방법을 배워보겠습니다. 스크래치로 드론 코딩을 하기 위해서는 로킷 브릭이 필요합니다. 로킷 브릭을 설치하는 방법을 살펴보고 스크래치로 코딩할 때 중요한 내용도 살펴보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이 처음인 분은 앞의 포스팅을 보면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드론 배우기 참고 포스팅

 

드론 배우기 로킷브릭 설치방법

로킷 브릭을 설치해보겠습니다. 인터넷 주소창에 http://www.robolinksw.com/을 입력해 로보링크 ‘교육·기술지원 웹사이트’ 로 갑니다. 페이지에서 <다운로드>를 클릭합니다. <코드론 미니>를 클릭합니다

 

드론 배우기 로보링크 홈페이지

 

컴퓨터 운영체제에 맞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합니다. 다운로드한 로킷 브릭으로 로보링크의 다양한 드론을 코딩할 수 있습니다.

로킷브릭 파일 확인

 

<내 컴퓨터>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속성>을 클릭하면 운영체제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드론 배우기 운영체제 확인

 

다운로드한 zip 압축 파일을 풀면 폴더가 하나 생깁니다. 폴더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파일들이 보입니다.

파일 확인

 

RBCodrone.exe 파일을 더블클릭해서 시작합니다. 프로그램이 시작되면 다양한 드론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왼쪽( < ) 버튼과 오른쪽( > ) 버튼으로 codrone MINI를 찾아 <SELECT>를 선택합니다. 그러면 로킷 브릭 프로그램이 시작됩니다.

드론 코딩 시작

 

드론 배우기 스크래치 기초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로킷 브릭은 다양한 창과 메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로킷 브릭 화면 살펴보기

 

 

  • 블록 팔레트 : 여러 블록 중 필요한 블록을 사용자가 쉽게 선택할 수 있게 카테고리에 따라 정리하여 보여줍
    니다.
  • 메뉴 : 프로젝트 열기 및 저장을 비롯하여 로킷 브릭의 여러 옵션을 설정 할 수 있습니다.
  • 스크립트 창 : 블록을 결합하여 스크립트를 작성하는 장소입니다.
  • 탭 목록 : 각각의 탭을 클릭하면 스프라이트에 연결된 스크립트/그림 파일(모양)/음향 파일(소리)을 스
    크립트 창에서 보여줍니다.
  • 무대(Stage) : 스크립트를 작성한 후 실행하면 무대에 실행 결과가 나타납니다.
  • 스프라이트 목록 : 현재 프로젝트에서 사용하고 있는 스프라이트의 목록을 보여줍니다.

 

 

특히, 스프라이트, 무대, 스크립트의 뜻을 잘 이해해야 합니다. 스프라이트는 ‘요정, 도깨비’라는 뜻으로 드라마의 배우와 비슷합니다. 이 배우에게 블록코딩으로 명령합니다. 감독이 배우에게 일을 시키듯이 스프라이트에 명령하는 거죠.


무대는 스프라이트가 움직이는 연극의 무대와 같은 장소입니다. 작품을 만들 때는 무대에서 스프라이트가 잘 움직이게 코딩해야 합니다. 무대 위의 스프라이트 위치를 좌표라고 합니다.


스크립트는 스프라이트나 무대에 어떤 일을 시키는 것입니다. 명령어 블록을 모아서 만든 것을 스크립트라고 합니다. 여러 명령어가 있는데 비슷한 것끼리 모아서 색깔로 구분했습니다. 예를 들어, 소리와 관계있는 명령어 블록은 모두 보라색입니다. 그래서 코딩할 때 원하는 블록이 어떤 색깔일 것으로 생각하며 블록을 찾으면 조금 더 쉽게 코딩할 수 있습니다.


블록의 종류는 동작, 형태, 소리, 펜, 제어, 관찰, 연산, 변수, 코드론 미니, 조종기가 있습니다. 처음부터 블록을 다 알고 있어야만 코딩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니까 너무 걱정할 필요없습니다. 직접 코딩을 하면서 블록을 하나씩 사용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이해가 될 것입니다.

 

블록의 종류

 

코딩할 때는 순차, 반복, 선택, 함수 그리고 변수를 잘 알아야 합니다. 이제부터 하나씩 차근 차근 공부해 볼까요? 스크래치 코딩할 때 6가지 규칙을 잘 기억해 두세요. 이 규칙에 따르면 더 쉽게 코딩할 수 있습니다.

 

스크래치 코딩 규칙 이해하기

  • 명령어 블록은 외우지 말고 색깔로 찾는다.
  • 무엇인가 하고 싶을 때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다.
  • 내가 코딩하고 싶은 스프라이트를 클릭하고 코딩한다.
  • 하얀색 칸에는 무엇인가 쓰거나 넣을 수 있다.
  • 세모 표시(▼)는 고를 수 있는 것이 여러 개 있다는 뜻이다.
  • 문제는 나눠서 생각한다.

코딩 규칙

 

이 규칙을 잘 생각하면서 코딩합니다. 이 책을 보다 보면 위의 규칙이 머릿속에 생생하게 기억날 것입니다. 그럼 스크래치 코딩을 해볼까요? 우선 어떻게 코딩을 하는지 천천히 살펴봅시다. 가장 먼저 무엇을 만들지 생각해야 합니다. 공책에 자신의 아이디어를 적는 것이 큰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만들고 싶은 것을 구체적으로 정리합니다. 그리고 알고리즘을 정리해야 합니다. 알고리즘이란, 소프트웨어를 만들기 위한 설계도입니다. 머릿속에만 있는 생각을 알고리즘으로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겁니다. 그러면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이나 잘못 생각한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제 다음 포스팅에서 스크래치 코딩을 해보겠습니다. 한 번에 모든 것을 만들려고 하면 안 됩니다. 한 번에 한 가지 문제를 해결합니다. 그리고 중간중간에 잘 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이번 드론 포스팅에서 배운 규칙을 잘 기억하길 바랍니다.

 

좋아요와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