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크래치/드론코딩

드론코딩 순차와 반복

반응형

드론코딩 포스팅을 시작합니다

이번 드론코딩 포스팅에서는 순차와 반복을 사용해서 무대 위에서 드론이 멋지게 움직이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순차와 반복의 뜻을 이해하고 직접 코딩해서 드론 스프라이트를 움직이는 방법을 배워보겠습니다.

 

드론코딩 포스팅의 내용은 바탕으로 <한권으로 코딩과 드론 날로먹기>라는 책을 정리했습니다. 책으로 구매하여 공부하고 싶은 분들은 아래 링크를 클릭하길 바랍니다.

 

한권으로 코딩과 드론 날로먹기 

 

한권으로 코딩과 드론 날로먹기 (교재+드론 세트)

1970년대 말부터 컴퓨터가 대중화되면서 정보화 시대가...

www.kyobobook.co.kr

 

중요내용

  • 스프라이트 사용방법
  • 순차
  • 반복
  • 프로그램 저장하고 불러오기

 

드론으로 코딩하기 위해서 먼저 로킷 브릭을 설치해야 합니다. 로킷 브릭을 설치하지 않았다면 아래 링크에 들어가서 로킷 브릭 설치방법을 보길 바랍니다.

 

로킷 브릭 설치방법

 

드론 배우기 로킷브릭 설치하기

드론 배우기 포스팅을 시작합니다 이번 드론 배우기 포스팅에서는 드론 코딩할 때 필요한 로킷 브릭을 설치하는 방법을 배워보겠습니다. 스크래치로 드론 코딩을 하기 위해서는 로킷 브릭이 필요합니다. 로킷 브릭..

www.itple.co.kr

 

여기서 순차에 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순차는 컴퓨터에 일을 차례대로 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라면을 끓이는 경우를 생각해봅시다. 먼저 물을 냄비에 넣고 불을 켜고, 물이 끓으면 라면을 넣죠? 만약 라면을 냄비에 넣고 끓이다가 물을 넣으면 어떻게 될까요? 이상한 라면이 되겠죠?


이렇게 일을 차례대로 하는 것을 순차라고 합니다. 마찬가지로 드론을 움직일 때 어떻게 움직일지, 차례대로 생각해봅니다.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을 생각하고, 그 다음에 해야 할 일을 순서대로 정리합니다. 로킷 브릭 프로그램을 시작했을 때 영어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한글로 바꿔봅시다. <톱니바퀴> 아이콘--<한국어>를 순서대로 클릭해서 한국어로 바꿉니다.

 

드론코딩 시작하기

 

코딩할 때 블록 팔레트를 크게 하면 편할 때가 있습니다. 빨간색으로 표시한 곳으로 클릭한 채로 움직이면 블록 팔레트 창이 커집니다.

 

먼저 ‘드론’스프라이트를 가져오겠습니다. 아래 그림의 빨간색으로 표시한 곳을 클릭하고, <모양>을 선택합니다. 그러면 로킷 블록에 저장된 스프라이트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선택한 스프라이트에 코딩을 하면 됩니다.

 

빨간색으로 표시한 곳을 드래그하면 <모양> 창의 크기를 바꿀 수 있습니다.

창 크기 바꾸기

 

<Robolink>를 클릭하고 마음에 드는 드론을 선택하고, 더블클릭 또는 를 클릭합니다. <취소>를 클릭하면 ‘모양’ 창이 닫힙니다.

드론코딩 스프라이트 선택하기

 

선택한 드론 스프라이트가 무대에 나타납니다. ‘무대’ 창도 빨간색으로 표시한 곳을 클릭해서 크기를 바꿀 수 있습니다.

무대 크기 바꾸기

 

<스크립트> 메뉴를 선택합니다. <블록> 팔레트에서 마우스 왼쪽 버튼을 클릭한 채로 블록을 스크립트 창으로 가지고 옵니다. 이렇게 마우스 왼쪽 버튼을 클릭한 채로 움직이는 것을 ‘드래그’라고 합니다. 스크립트 창으로 드래그해서 스크립트를 만듭니다.

 

위의 그림과 같이 코딩하면, 초록색 깃발을 클릭했을 때 스프라이트가1 0만큼 움직입니다. 잘 되는지 확인해 볼까요? 초록색 깃발을 클릭할 때마다 드론이 오른쪽으로 조금씩 움직입니다.

 

여러분은 이제 방금 스프라이트를 움직이는 프로그램을 하나 만든 겁니다. 그런데 스프라이트가 너무 큽니다. 어떻게 하면 될까요? <형태>를 클릭하면 그림과 같은 블록이 보입니다. 100%는 현재 크기를 말합니다. 이것을 20으로 바꾸면 크기가 1/5로 작아집니다.

크기가 작아진 스프라이트

 

블록을 지우고 싶을 때는 <블록> 팔레트 창으로 드래그하면 됩니다.

 

다른 방법으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삭제하기>를 선택해도 됩니다.

 

<형태> 블록에서 크기를 10만큼 바꾸기 블록을 가져옵니다.

 

이 블록을 비슷한 일을 하는 다른 블록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바꾸고 싶은 블록 위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블록 바꾸기>를 선택합니다.

 

그러면 바꿀 수 있는 블록이 나타납니다.

 

아래 그림처럼 코딩합니다. 스크래치로 코딩할 때 블록이 어디 있는지 외울 필요가 없습니다. 색깔로 구분했으니, 여러분이 색깔을 보고 직접 찾으면 됩니다. 그러면 드론이 크기가 작아져서 움직입니다.

 

 

스크래치로 코딩을 할 때에는 블록을 잘 연결하고 프로그램을 실행해야 합니다. 스크래치는 가장 위의 블록에서부터 연결된 명령어 블록을 차례대로 실행합니다. 중간에 연결이 끊기면 더는 명령어 블록을 실행하지 않습니다. 드론을 원하는 곳으로 움직이기 위해선 좌표를 확인해야 합니다.


<동작> 블록 모음에서 x좌표, y좌표 앞의 네모 칸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무대에 좌표가 나타납니다. 마우스로 드론을 옮기고 좌표를 확인합니다.

 

x좌표를 0, y좌표를 0으로 이동하면 무대 한가운데로 움직입니다.

 

<~초 동안 이동하기> 블록을 사용하면 지정한 시간 동안 움직입니다. 숫자가 클수록 천천히 움직입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코딩합니다. 크기를 20%로 정하면 드론의 크기가 1/5로 작아지고 무대 왼쪽 아래에서 무대 가운데 위쪽으로 움직입니다.

 

<이동하기> 블록을 여러 개 사용하면 무대 이곳저곳으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이럴 때 <복사하기> 기능을 사용하면 편합니다. 복사하고 싶은 블록 위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여러 가지 메뉴가 나옵니다. <복사하기>를 클릭합니다.

 

무엇인가 하고 싶을 때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여러 가지 메뉴가 나옵니다. <복사하기>를 선택하면 블록이 복사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코딩을 하고 녹색 깃발을 눌러 블록을 실행시킵니다.

 

블록이 실행되는 중 <일시 정지> 버튼을 누르면 어떤 블록을 실행하다 멈췄는지 스크립트 창에서 보여줍니다. 아래 그림은 x좌표 150, y좌표 –95로 이동하는 도중에 멈췄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일시 정지> 버튼을 다시 누르면 이 블록부터 프로그램이 다시 시작됩니다.

 

빨간색 <정지> 버튼을 누르면 프로그램이 끝납니다. 다시 <초록색 깃발>을 누르면 처음부터 다시 프로그램이 실행됩니다. <복사하기> 기능을 사용할 때 선택한 블록부터 연결된 블록을 모두 복사할 수도 있습니다.

 

원하는 블록 하나만 복사할 수도 있습니다.

 

프로그램을 더 만들어 볼까요? 드론이 무대의 주변을 날 수 있도록 코딩하겠습니다.

 

다음 그림처럼 순서대로 블록을 연결하면 드론이 삼각형과 사각형을 그리는 것처럼 무대 위에서 움직입니다.

드론코딩 무대 위를 움직이기

 

삼각형을 두 번 그리며 날게 하려면 아래 그림처럼 코딩합니다. 그런데 자세히 보면 같은 블록이 반복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조금 더 편하게 코딩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여기서 필요한 것이 바로 반복입니다. ‘순차’는 차례대로 일한다는 뜻이고, ‘반복’은 어떤 일을 계속 반복한다는 뜻입니다.

 

반복되는 블록이 있을 때 <~번 반복하기> 블록을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이 블록 안에 들어간 코드를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더 짧고 간단하게 코딩할 수 있습니다. 위의 스크립트를 아래 그림처럼 간단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코딩할 때 <~번 반복하기> 블록 안에 반복하고 싶은 블록을 연결해야 합니다. 옆 그림처럼 <~번 반복하기> 블록 아래에 연결하면 안 됩니다.

 

계속 반복하고 싶으면 <무한 반복하기> 블록을 사용하면 됩니다.

 

아래 그림처럼 코딩해볼까요? 그러면 드론은 삼각형과 사각형을 그리면서 계속 움직입니다.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방법을 배워보겠습니다. 저장하지 않아서 열심히 코딩한 프로그램이 다 날아가면 안 되겠죠? 코딩하면서 중간중간 저장하는 습관을 가져야 합니다. <저장하기>를 클릭하면 ‘이름없음’으로 저장됩니다.

 

그러면 ‘저장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나옵니다.

 

<Ctrl>키와 <S>키를 동시에 눌러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런 것을 ‘단축키’라고 합니다. 다른 프로그램에서도 <저장하기> 단축키는 똑같습니다. 저장할 때는 ‘Ctrl+S’다. 이것을 잘 기억해주기 바랍니다.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면 싶으면 <다음 이름으로 저장하기>를 클릭합니다.

 

기억하기 쉬운 이름을 쓰고 <저장하기>를 클릭합니다.

 

새로운 프로그램을 만들려면 <새로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저장한 프로그램은 다시 열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열기>를 클릭합니다.

 

열려고 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열기>를 클릭합니다.

드론코딩한 프로그램 열기

 

코딩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이 순차입니다. 명령어를 순서대로 연결할 수 있어야 코딩을 제대로 할 수 있습니다. 로킷 브릭으로 아주 간단한 프로그램을 하나 만들어봤습니다. 이제 우리는 코딩의 세계로 한 걸음 더 가까이 다가간 겁니다. 이번 드론코딩 포스팅에서 배운 내용으로 자기를 소개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면 어떨까요?

 

[다음 포스팅] 난수로 드론 움직이기

 

코딩교육 난수로 드론 움직이기

코딩교육 포스팅을 시작합니다 이번 코딩교육 포스팅에서는 난수를 사용해서 드론 스프라이트를 움직이는 방법을 배워보겠습니다. 전 세계는 제조업과 소프트웨어를 융합해 경쟁력을 창출하는 4차 산업혁명중입니..

www.itple.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