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엔트리 국어코딩 포스팅을 시작합니다
이번 엔트리 국어코딩 포스팅에서는 1학년 국어 시간에 배우는 자음과 모음으로 프로그램을 만들어보겠습니다. 엔트리 국어코딩 포스팅에서는 교과서에 나와있는 교과내용을 코딩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다양한 예제를 소개하겠습니다.
엔트리 교과서 코딩 초등1: 국어 통합교과
이 책은 엔트리로 학교 교과목과 코딩을 한 번에 배우기...
www.kyobobook.co.kr
엔트리 국어코딩 중요내용
- 글상자 사용하기
- <글쓰기> 블록 사용하기
글을 읽기 위해서는 글자를 잘 알아야 합니다. 글자는 자음과 모음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ㄱ,ㄴ,ㄷ 이런 것은 자음이라고 합니다. ㅏ,ㅓ,ㅡ,ㅣ 이런 것은 모음이라고 합니다. 엔트리로 자음을 순서대로 말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엔트리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장면1>을 <자음 말하기>로 바꿉니다. <오브젝트 추가하기>를 클릭하고 나오는 메뉴에서 <글상자>를 클릭합니다.
‘ㄱ’이라고 쓰고, <적용하기>를 클릭하면 글상자가 <장면 창>에 생깁니다. 이 글상자를 사용하면 자음과 모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점을 클릭하고 움직이면(드래그) 글자 크기를 크거나 작게 만들 수 있습니다.
그림 2-5와 같이 만듭니다.
엔트리봇에 그림 2-6과 같이 코딩을 하겠습니다. 글상자는 말하기 명령어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럼 그림 2-7과 같이 엔트리봇이 말하도록 코딩을 합니다.
여기서 우리 한글 자음을 순서대로 말해볼까요? 기역, 니은, 디귿, 리을, 미음, 비읍, 시옷, 이응, 지읒, 치읓, 키읔, 티읕, 피읖, 히읗 어떤 규칙이 보이나요? 기역을 보면 첫 번째 글자 ‘기’의 ‘ㄱ’과 두 번째 글자 ‘역’의 받침 ‘ㄱ’의 글자가 같다는 것이 보이나요?
나머지 글자도 마찬가지입니다. 시옷을 보면 첫 번째 글자 ‘시’의 ‘ㅅ’과 두 번째 글자 ‘옷’의 받침 ‘ㅅ’의 글자가 서로 같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을 잘 보고 코딩을 해봅시다.
그리고 오브젝트도 복사할 수 있습니다.
엔트리로 코딩할 때 중요한 규칙이 기억나죠?
‘글상자1’, ‘글상자2’ 이렇게 이름을 지으면 나중에 헷갈릴 수 있습니다. 그림 2-10처럼 이름을 짓습니다.
<블록 꾸러미> 위를 보면 고를 수 있는 메뉴가 여러 개 있습니다.
글상자를 클릭합니다. 여기서 글자나 문장을 바꿀 수 있습니다.
‘ㄴ’ 글상자가 ‘ㄱ’ 글상자를 가려서 안 보이게 됩니다. 어떻게 하면 될까요?
‘ㄴ’ 글상자에 그림 2-14와 같이 코딩을 합니다.
<시작하기>를 클릭하면 ‘ㄴ’이 보이지 않습니다.
엔트리봇이 2초 말했으니 그림 2-16처럼 ‘ㄱ’ 글상자는 2초 뒤에 보이지 않게 코딩을 합니다.
그리고 ‘ㄴ’ 글상자는 그림 2-17처럼 2초 뒤에 보이게 코딩을 합니다.
그림 2-18처럼 코딩을 하면 엔트리봇은 ‘기역’을 말한 다음에 ‘니은’이 라고 말합니다.
그렇다면 ‘ㄱ’에서부터 ‘ㅎ’까지 말하려고 하려면 글상자를 이렇게 계속 복제해야 합니다. 그리고 글자를 각각 보이게 하거나 숨겨야 합니다. 너무 복잡하지 않나요? 더 쉬운 방법은 없을까요? 글상자는 하나만 사용해도 됩니다. 예전에 사용했던 글상자는 지웁니다. 그리고 글상자를 하나 만듭니다.
<오브젝트 추가하기>를 선택하고 글상자에 ‘자음’이라고 씁니다. 글상자 이름을 ‘자음’으로 바꿉니다.
<글상자> 블록 꾸러미 글상자가 를 보면 <글쓰기> 명령어가 보입니다. 이것을 사용하면 아주 쉽게 코딩을 할 수 있습니다.
그림 2-23처럼 코딩을 하면 글상자에 ‘ㄱ’이라는 글씨가 쓰입니다.
이 명령어를 복제를 해서 조금씩 바꾸면 쉽게 코딩을 할 수 있습니다.
‘ㅂ’까지 보여주는 프로그램은 그림 4-25와 같습니다.
엔트리봇에 그림 2-26와 같이 코딩하면 되겠죠? 그림을 잘 살펴보고 ‘ㅎ’까지 말하는 프로그램을 한 번 만들어 봅시다.
‘ㅂ’까지 자음 말하기를 완성하였습니다.
모음을 말하는 프로그램도 만들어 볼까요? 그림 2-28과 같은 10개의 모음을 말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봅시다.
엔트리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장면1을 ‘모음 말하기’로 바꿉니다. <오브젝트 추가하기>를 클릭하고 나오는 메뉴에서 <글상자>를 클릭하여 ‘모음’이라고 씁니다.
글상자의 이름을 ‘모음’으로 바꿉니다.
순서대로 아, 야, 어, 여, 오, 요, 우, 유, 으, 이입니다. 우선 6개의 모음을 순서대로 말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모음> 글상자는 그림 2-31과 같이 코딩하면 됩니다.
엔트리봇에는 그림 2-32처럼 코딩하면 되겠죠?
‘ㅛ’까지의 <모음 말하기>를 완성하였습니다.
지금까지 엔트리 국어코딩 포스팅에서 배운 내용으로 모음 10개를 말하는 프로그램을 완성해 봅시다. 이제 순서대로 코딩하는 방법을 잘 이해할 수 있나요? 자음과 모음을 말하는 프로그램 만들 수 있다면 여러분은 순서대로 코딩을 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처음에는 어려운 것이 당연합니다. 이 책을 여러 번 읽다 보면 여러분의 코딩 실력은 쑥쑥 클 것입니다.
'엔트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트리로 [자음-모음] 퀴즈를 만들어요 2-1 (0) | 2020.08.14 |
---|---|
엔트리사이트로 자음모음 퀴즈를 만들기 1 (0) | 2020.03.29 |
엔트리 국어코딩 자음모음 말하는 프로그램 만들기 (0) | 2020.03.07 |
엔트리학습하기 인사하는 프로그램 만들기 (0) | 2020.02.26 |
엔트리코딩 자신을 소개하는 프로그램 (0) | 2020.02.22 |
엔트리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시작하기 (0) | 2020.02.19 |
코딩강의 엔트리 프로그램 설치하기 (0) | 2019.05.17 |
코딩강의 엔트리 코딩 시작하기 (0) | 2019.05.17 |
코딩강의 엔트리 교과서 코딩 책소개(1편) (0) | 2019.05.16 |